공부하다가 유념해야할것들이나 기억하면 좋겠다 싶은 것들을 발견했을때
귀찮지 않으면 정리하는 공간.
1. List slicing
리스트에서 특정 인덱스 값들만 얻어 올때 Start 와 End 포함 되는 영역이 다르다.
예를들어 (귀찮아서 따옴표 생략)
List = [a,b,c,d,e,f,g] 일때 각각의 인덱스는 0,1,2,3,4,5,6 이다.
여기서,
List[2:4] 를 출력하면 c,d,e 가 출력될것 같지만 c,d 만 출력된다.
List[Start:End] 라고 했을때, start 값은 inclusive 하고 end 값은 exclusive 함.
이거를 List[:5] 라고 했을때나, List[3:] 라고 했을때도 똑같이 적용되는 것이다.
2. 두 List 값 바꾸기
x=[1,2,3] --- 리스트 x 세팅
y=x --- y를 x리스트값으로 대치
print(y) 하면 [1,2,3] 나온다.
y[1]='a' --- y리스트 값의 인덱스 1값을 a문자로 대치했을때,
print(y) 하면 [1,'a',3] 이 나온다.
그런데 이때 print(x) 를 해도 [1,'a',3] 이 나온다.
y=x하면서 결국에는 동일한 리스트를 가지고 값을 조작하기 때문이다.
** 근데 , y=list(x) 로 값을 정해주거나, y=x[:] 로 값 세팅하면 두 리스트가 함께 변하지 않고 각각 변하는 상태가 됨!!
복쟙하다....
3. 근데 리스트는 내부 숫자들을 계산할 수 없다.
그래서 Numpy array 를 사용한다.
4. 리스트의 마지막 인덱스 값 확인할때.
Print(Listname[-1]) 로 출력해보면 된다.
'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ython Matplotlib 패키지 총 정리! 유용한 팁 모음 (0) | 2018.06.07 |
---|---|
Python 파이썬 메소드의 개념. 쉽게 알기! (0) | 2018.06.05 |
파이썬 Pickle 모듈 :: 자료형 그대로 저장해줌 (0) | 2018.05.14 |
파이썬 메소드 쓰기 :: __init__ (0) | 2018.05.03 |
파이썬 언더바를 사용하는 특별 메소드들 (0) | 2018.05.03 |